질병관리청

코로나19 치료제 수급 안정화

이전 다음
코로나19 치료제 수급 안정화
  • SFTS 증증 환자 진료 시 주의
  • 2025년 6월호
  • 2025년 5월호
  • 2025년 4월호
  • 2025년 3월호
  • 에볼라바이러스병 대비/대응
  • 2025년 2월호
  • 2025년 1월호
  • 2024년 11월호
  • 해외여행 시 HIV/AIDS 예방
  • 마버그열 유행 대비/대응
  • 2024년 10월호
  • 2024년 9월호
  • 오로푸치열 확산, 검사의뢰 안내
  • 엠폭스 의심환자 신고안내
  • 코로나19 치료제 수급 안정화
  • 2024년 8월호
  • 2024년 7월호
  • 2024년 6월호
  • No.8 Issue 12
  •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유행 증가
  • No.8 Issue 11
  • No.8 Issue 10
  • No.8 Issue 09
  • No.8 Issue 08
  • No.8 Issue 07
  • No.8 Issue 06
  • No.8 Issue 05
  • No.8 Issue 04
  • No.8 Issue 03
  • No.8 Issue 02
  • No.8 Issue 01
  • No.7 Issue 09
  • No.7 Issue 08
  • No.7 Issue 07
  • No.7 Issue 06
  • No.7 Issue 05
  • No.7 Issue 04
  • 원숭이두창, 첫 사례 발생
  • No.7 Issue 03
  • 원숭이 두창(Monkeypox virus)
  • No.7 Issue 02
  • No.7 Issue 01
  • No.6 Issue 24
  • No.6 Issue 23
  • No.6 Issue 22
  • No.6 Issue 21
  • No.6 Issue 20
  • No.6 Issue 19
  • No.6 Issue 18
  • No.6 Issue 17
  • No.6 Issue 16
  • No.6 Issue 15
  • No.6 Issue 14
  • No.6 Issue 13
  • No.6 Issue 12
  •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
  • No.6 Issue 11
  • No.6 Issue 10
  • No.6 Issue 09
  • No.6 Issue 08
  • No.6 Issue 07
  • No.6 Issue 06
  • No.6 Issue 05
  • No.6 Issue 04
  • No.6 Issue 03
  • No.6 Issue 02
  • No.6 Issue 01
  • No.5 Issue 25
  • No.5 Issue 24
  • No.5 Issue 23
  • No.5 Issue 22
  • No.5 Issue 21
  • No.5 Issue 20
  • No.5 Issue 19
  • No.5 Issue 18
  • No.5 Issue 17
  • No.5 Issue 16
  • No.5 Issue 15
  • No.5 Issue 14
  • No.5 Issue 13
  • No.5 Issue 12
  • No.5 Issue 11
  • No.5 Issue 10
  • No.5 Issue 09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 No.5 Issue 08
  • No.5 Issue 07
  • No.5 Issue 06
  • No.5 Issue 05
  • No.5 Issue 04
  • No.5 Issue 03
  • No.5 Issue 02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No.5 Issue 01
  • 중국 폐렴
  • No.4 Issue 23
  • No.4 Issue 22
  • No.4 Issue 21
  • No.4 Issue 20
  • No.4 Issue 19
  • No.4 Issue 18
  • No.4 Issue 17
  • 전자담배(액상형)
  • A형간염
  • No.4 Issue 16
  • No.4 Issue 15
  • No.4 Issue 14
  • No.4 Issue 13
  • No.4 Issue 12
  • No.4 Issue 11
  • No.4 Issue 10
  • No.4 Issue 9
  • No.4 Issue 8
  • No.4 Issue 7
  • No.4 Issue 6
  • No.4 Issue 5
  • No.4 Issue 4
  • No.4 Issue 3
  • No.4 Issue2
  • 홍역
  • No.4 Issue1
  • No.3 Issue26
  • No.3 Issue25
  • No.3 Issue24
  • No.3 Issue23
  • 인플루엔자
  • No.3 Issue22
  • No.3 Issue21
  • No.3 Issue20
  • No.3 Issue19
  • 메르스
  • 메르스
  • No.3 Issue18
  • No.3 Issue17
  • No.3 Issue16
  • No.3 Issue15
  • No.3 Issue14
  • No.3 Issue13
  • No.3 Issue12
  • No.3 Issue11
  • 홍역
  • No.3 Issue10
  • No.3 Issue9
  • No.3 Issue8
  • No.3 Issue7
  • No.3 Issue6
  • No.3 Issue5
  • No.3 Issue4
  • No.3 Issue3
  • No.3 Issue2
  • No.3 Issue1
  • No.2 Issue24
  • No.2 Issue23
  • 계절인플루엔자
  • No.2 Issue22
  • No.2 Issue21
  • No.2 Issue20
  • No.2 Issue19
  • No.2 Issue18
  • No.2 Issue17
  • No.2 Issue16
  • No.2 Issue15
  • No.2 Issue14
  • No.2 Issue13
  • No.2 Issue12
  • No.2 Issue11
  • 감염병뉴스속보 [메르스]
  • No.2 Issue10
  • No.2 Issue9
  • No.2 Issue8
  • No.2 Issue7
  • No.2 Issue6
  • No.2 Issue5
  • No.2 Issue4
  • No.2 Issue3
Level 2 (Health Advisory)
코로나19 치료제 수급 등 안정화 추세
      • (주요사항) △코로나19 치료제가 꼭 필요한 고위험군 환자에게 활용될 수 있도록 처방기준 준수, △코로나19 감염취약시설 주의사항 준수, △10월에 있을 코로나19 예방접종 계획 참고
      • (치료제) 신속한 물량 확보를 통해 총 26.2만명분을 8월 30일까지 모두 도입 완료하여 치료제 수급 안정화
      • (유행상황) ’24년 여름철 코로나19 입원환자 수 증가로 올해 정점 기록(8월3주) 이후 최근(8월4주) 전 주 대비 감소세 확인
        • 입원환자 중 약 66%가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발생

      • 질병관리청은 국내외 감염병 유행동향과 진료·치료 참고사항 등을 신속히 공유하고자 「질병관리청 감염병 ALERT」을 제공 하고 있습니다. 이는, WHO를 포함한 각국 보건부 정보들을 바탕으로 하여 감염병의 주의 필요 정도에 따라 「질병관리청 감염병 ALERT」 Level1 (Health Update)*, Level2 (Health Advisory)**, Level3 (Health Alert)***으로 구분합니다.
      • *Level1 (Health Update): 공중보건에 관한 최신 정보 및 상황 변화
        **Level2 (Health Advisory): 특정 예방 조치나 모니터링 권고
        ***Level3 (Health Alert): 즉각적인 공중보건 행동 조치 등 보다 주의를 요하는 경우

      코로나19 치료제 공급 계획 및 처방 기준 안내

      • 국내 코로나19 환자 수 및 코로나19 치료제 사용량 증가에 맞추어 질병관리청에서는 신속하게 예비비(3,268억원)를 편성, 26.2만명분을 8.30일까지 추가 도입하여 지역 현장에 공급*하였고 다음과 같이 안내드리니 적극적인 협조 당부드림

        * 8월 5주차 10만 명분 공급으로 하루 사용량(약 5천 명분)의 20배 이상으로 지역 재고 확대

      • (처방기준 안내) △꼭 필요한 고위험군 환자에 활용될 수 있도록 처방기준 준수(표1), △고령자 집중보호를 위해 60세 미만 환자는 환자별 위험도 고려하여 처방 권고
      • [표1. 코로나19 먹는치료제 처방기준]

      코로나19 감염취약시설 주의사항

      • 감염취약시설의 경우, 전파 및 중증 위험도가 높은 고위험군 환자가 밀집되어 있는 장소로 코로나19 감염예방 관리가 중요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내드리니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림
      • (집중관리) 동일 시설에서 7일 이내 2명 이상 환자 발생시 관할 보건소(합동전담대응팀)로 신고하여 초기부터 집중 관리 필요
        • 보건소 관리 중 환자가 10명 이상 증가하는 경우에는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필요 시 현장 역학조사 등을 통해 감염관리 상황 점검
      시설 내 호흡기 유증상자 발생 및 자가진단검사 결과 양성인 경우, 기본적으로
      • 의료기관 진료 및 검사를 권고, 확진될 경우 증상 호전 후 24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격리 권고(종사자의 경우 출근자제 및 업무배제)
      • 환자의 접촉자 확인 및 접촉자 증상 모니터링 시행
      • 시설 내 개인위생 수칙 준수 및 청소·소독·환기(2시간마다 10분) 강화

      코로나19 예방접종 계획

      • 2024~2025 절기 코로나19 예방접종은 현재 우리나라 및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균주 변이에 효과적인 신규 백신(JN.1 변이 등 대응)을 활용할 예정
      • (진행상황) 10월 중 인플루엔자와 동시 접종*이 가능하도록 현재 해당 백신에 대한 허가·승인 절차 진행 중
        • * 백신 허가 및 도입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세부 계획은 9월 중 발표 예정

        • (고위험군)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어르신과 면역저하자 및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 무료 접종 가능

          * 요양병원, 요양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노숙인 생활시설, 장애인 생활시설 등

        • (일반국민) 본인이 비용을 부담하여 접종 가능

      [참고1] 코로나19 발생 현황

      • (발생현황)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6월 말부터 증가하여 8월 3주차(8.11~8.17.)에 올해 정점을 기록하였으나 8월 4주차(8.18.~8.24.)에는 전주보다 감소(그림1).

        * 입원환자 수(명) : 7.4주474명 → 8.1주879명 → 8.2주1,366명 → 8.3주1,464명 → 8.4주1,164명(잠정)

        [그림1. 2024년 주별 코로나19 입원환자 발생 추이(1.1.~8.24.)]

        * 전국 표본감시 의료기관(220개소)에서 매주 방역통합정보시스템에 신고한 데이터로, 변동가능한 잠정수치임

      • (연령별 현황) 65세 이상이 전체 입원환자 수(16,407명)의 65.9%(10,820명)으로 가장 많은 비율 차지

        * 연령별 입원환자 수(명) : 50~64세2,961명(18.0%) → 19~49세1,638명(10.0%) → 0~6세655명(4.0%) → 7~18세333명(2.0%)

      • (변이현황) 국내 KP.3의 8월4주(33주) 점유율은 59.8%(전주 대비 -4.3%p)로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높은 점유율 유지
        • KP.3의 면역회피능의 소폭 증가는 확인되나, 중증도 증가 관련 보고는 없음(ECDC 8.16., WHO, 8.13.)
      • [국내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점유율 (24년 8월 4주 기준)]
      • 문의전화: 질병관리청(종합상황실) 043-719-7789
      • 관련자료 상세보기 
      • 최종 업데이트일: 24.9.2.
편집위원

민간위원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엄중식,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 병원 감염내과, 염준섭, 을지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은병욱, 인천광역시 의료원 감염내과 김진용,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김민재, 방배지에프내과 이영목, 이양덕내과 이양덕, 아산진내과 정현연,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감염내과 오홍상, 가천대학교 길병원 예방의학교실 문종윤

질병관리청

질병감시전략담당관
질병관리본부로고본 내용은 질병관리청(kdca.go.kr)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본 내용은 질병관리청(kdca.go.kr)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