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버그열, 적도기니 사례 지속 발생 및 보고지역 확대
File :
작성자 : 관리자 2023-04-18


2.13일 마버그열 첫 발생 보고 이후 적도기니 남동쪽을 중심으로 지속적 확산

4.15일 현재 총 발생 38건(확진 15, 의심 23), 사망 34명 보고 


적도기니에서는 2.13일 마버그열 첫 사례 발생 보고 이후 적도기니 남동쪽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4.15일 현재 총 발생 38(확진 15, 의심 23), 사망 34명이 보고되었다.

* 확진사례(15) 지역분포: Bata(9), Ebebiyin(2), Evinayong(2), Nsork(1), Unknown(1)

* 사망사례(34): 확진(11), 의심(23)


연령 및 성별 정보가 있는 확진 사례(14)중 대다수는 여성에서 발생했으며(9), 가장 영향을 받은 연령대는 40-49(6)였다. 발생 사례들의 보고지역은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일부 지역 발생 건(Kie-Ntem, Littoral, Wele-Nzas Nsork)은 역학적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적도기니 내 마버그열 발생 보고 지역, 4.15기준, WHO>


마버그열 확진 및 사망 사례는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보고지역이 확대되고 있어 적도 기니 내 추가 발생 지속이 가능하다. 이번 유행은 적도기니에서 발생한 첫 마버그열 유행으로 지역사회 등 예방 교육 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전파 지속 가능성은 높다.


WHO는 적도기니 여행 및 무역 제한을 권고하고 있으며, 국내 외교부는 적도기니를 여행자제(황색경보)지역으로 지정하여 국내 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다만, 현재 적도기니의 마버그열 발생지역은 카메룬, 가봉과 국경을 접하고 있고 인구이동이 빈번한 지역이라 국제적 확산 가능성 있어 아프리카 내 마버그열 발생 지속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다.



자료출처: WHO 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