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8 Issue 7_리슈만편모충증, 2년 만에 해외유입 감염 발생
File :
작성자 : 관리자 2023-07-25

위험지역(아프가니스탄, 알제리, 브라질, 콜롬비아, 이란, 이라크, 파키스탄, 페루, 시리아 등) 여행 시 매개체인 모래파리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당부


질병관리청에서는 최근에 리슈만편모충증 의심환자의 검체에서 리슈만편모충 감염을 확인하였고, 이는 ’21년 이후 2년 만에 발생한 환자 사례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리슈만편모충증 주요 발생국가인 아프가니스탄, 알제리, 브라질, 콜롬비아, 이란, 이라크, 파키스탄, 페루, 시리아 등 위험지역 여행 시 매개체인 모래파리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등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에 확인된 환자는, 멕시코와 갈라파고스제도 등 중남미 지역을 여행하고 귀국한 후 증상이 발현되어 입원한 사례였으며, 최종적으로 피부리슈만편모충증으로 진단되었다. 질병관리청은 ’236월 상급종합병원(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의 검사의뢰를 받아 의심환자의 피부병변 조직검체에서 리슈만편모충 특이 유전자*를 검출하였고, 유전자 서열분석을 통해 Leishmania mexicana**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 리슈만편모충 유전자검사의 표적유전자 (internal transcribed spacer1, ITS1)

  ** Leishmania mexicana :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 등에서 피부 리슈만편모충증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

 

리슈만편모충증은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4급 법정감염병인 해외유입기생충증에 해당한다. 모래파리(Sand fly)가 흡혈할 때 리슈만편모충(Leishmania spp.)이 사람에게 감염되는 매개체감염병으로 감염 부위에 따라 피부, 피부점막, 내장리슈만편모충증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8년 최초로 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약 29건의 해외유입사례가 확인되었다.

 

아메리카 지역의 내장리슈만편모충증의 치명률이 7%인 것에 비해 피부리슈만편모충증은 치명적이진 않지만, 감염될 경우 팔다리, 안면 등 피부 노출부에 구진, 수포, 결절 및 궤양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 부위에 광범위한 반흔조직의 발생 등 장기간 피부이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되지 않도록 유의가 필요한 질병이다.

 

리슈만편모충증의 매개체인 모래파리가 국내에 서식하고 있지 않으므로 국내 발생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반면에 해외여행이 증가하면서 리슈만편모충증을 비롯한 다양한 해외유입 감염병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의심증상자의 경우 반드시 해외여행력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 발생) 리슈만편모충증은 국내에서 토착 발생하지 않음

- 해외에서 유입되는 대표적인 열대기생충질환의 한 종류

- 피부리슈만편모충증은 1978년 사우디아라비아와 요르단에서 근무하다 귀국한 근로자 2명에서 처음으로 증례를 확인하였고, 그 후 중동에서 귀국하는 근로자들이 증가하면서 증례도 증가함

- 현재 피부리슈만편모충증은 문헌상 보고가 약 20 사례(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아프가니스탄, 아프리카, 브라질, 스페인 등)가 확인되며, 자연 치유된 환자도 상당수 있을 것으로 추정됨

- 내장리슈만편모충증의 경우, 1952년 중국의 만주에서 귀환한 3명에서 처음으로 증례 보고한 후, 현재까지 해외 유입된 내장리슈만편모충증은 총 5 사례(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아르헨티나)가 보고됨

- 종합하면, 2013년까지 약 26건의 리슈만편모충증 감염 사례보고가 있었고, 최근 10년간 질병관리청 표본감시체계에 신고된 발생건수 2건과 이번 사례를 합하여 약 29건의 리슈만편모충증 감염이 확인되며, 해외유입에 의한 사례로 밝혀짐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의료통계에서 리슈만편모충증으로 진료된 건은 2020년부터 20226월까지 12건으로 확인됨

 

(국외 발생) 전 세계적으로 리슈만편모충증은 매년 약 70~100만명 발생 추정

피부리슈만편모충증은 매년 60~100만명의 환자가 발생하고멕시코와 중남지중해연안중동 중앙아시아지역에서 발생이 보고됨

내장리슈만편모충증은 매년 5~9만명의 환자가 발생하고브라질동아프리카인도에서 대부분 발생 보고

WHO 보고서(2021) 따르면피부리슈만편모충증의 85% 9 국가(아프가니스탄알제리브라질콜롬비아이란이라크파키스탄페루시리아)에서 발생하며(그림 1)내장리슈만편모충증의 68% 4 국가(브라질케냐인도수단)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 있음(그림 2)



image01.png

그림1. 피부리슈만편모충증의 국제 발생 분포 

(WHO Leishmaniasis control programme, Annual country reports, 2021)



image02.png

그림 2. 내장리슈만편모충증의 국제 발생 분포 

(WHO Leishmaniasis control programme. Annual country reports, 2021)




출처

[보도참고자료] 리슈만편모충증, 2년 만에 해외유입 감염 발생

WHO, Leishmani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