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2 Issue 22_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질병 개요
File :
작성자 : 관리자 2017-11-24

지정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 개요

정 의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증

질병분류

법정감염병 : 지정

질병코드 : ICD-10 J02.8&B97.4, J03.8&B97.4, J12.1, J20.5&B97.4, J21.0&B97.4

병원체

파라믹소비리데과(Paramyxoviridae family) 중 별도의 pneumovirus genus에 속하는 사람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병원소

사람

전파경로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과 직접 접촉 또는 호흡기 비말 전파

잠복기

2-8(평균 5)

진단기준

환자 : 급성호흡기감염증 환자의 검체에서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분리 또는 특이유전자 검출

임상 증상 : 급성 호흡기질환 및 어린이와 신생아의 하부호흡기감염증 (모세기관지염, 폐렴)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특이 유전자 검출

증 상

콧물, 인후통, 기침, 가래가 흔하며, 코막힘, 쉰 목소리, 천명(쌕쌕거림), 구토

성인에서는 감기 정도로 경미한 증상(주로 상기도 감염), 영유아에서는 모세기관지염, 폐렴 등 하기도 감염 가능하며, 신생아기에는 흔히 폐렴을 일으킴

흡기 이외의 중증 증상으로 경련, 부정맥, 저나트륨 혈증, 신경학적 합병증 등

치 료

예방백신이나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 없음 (심한 RSV 감염증에 Ribavirin 투여 가능)

대증 치료 : 해열제 등 보존적인 치료

전염기간

바이러스는 증상이 나타나기 수일 전부터 배출 될 수 있음

증상발생 후 약 1주간 바이러스 배출 지속

치명률

대부분 자연 회복

고위험군 : 선천심장 기형아, 조산아, 개심술 직후의 소아 (특히 면역저하 환자(골수이식 또는 고형장기 이식환자 등)에서 RSV 폐렴 발생 시, 사망률이 50%이상 이를 수 있음)

관 리

<환자관리>

영유아 및 면역저하자에서 RSV 감염증이 있는 경우 접촉주의 준수

증상이 있는 동안 가급적 집에서 휴식을 취하고 다른 사람과 접촉을 피하도록 권고

<접촉자 관리>

감염증상 발생 여부 관찰

예 방

올바른 손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 기저귀 교체 전·, 코를 풀거나 기침, 재채기 후 등 실시

기침 예절 준수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마스크 착용

씻지 않은 손으로 눈, , 입 만지지 않기

예방요법 (고위험군)

- RSV 유행기간 동안 매달 고위험군(미숙아, 기관지폐이형성증 및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환아 등)을 대상으로 팔리비주맙(Palivizumab) 근주

 


logo.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