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볼라바이러스병 개요 |
구 분 | 내용 |
방역이력 및 발생현황 | º 법정감염병(제4군), 질병코드 ICD-10 A98.3 º 국내현황 : 보고 없음 º 국외현황 - 1976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처음 보고 이후 아프리카 지역에서 간헐적, 산발적 유행 발생 보고 - 가봉, 기니,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라이베리아, 말리, 세네갈, 수단, 시에라리온, 우간다, 코르티부아르, 콩고, 콩고민주공화국 등 국가에서 발생 보고 - 2014년 서아프리카 지역(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등)에서 대규모 유행 발생하여 환자 28,652명(확진 15,261, 사망 11,325) 발생 - 콩고민주공화국 일부 지역에서 유행발생 지속* 중 * ’18.5월~’19.7.29일 기준, 환자 2,687명 (사망 1,811명) 발생 * 이 중, 의료종사자 146명 감염 |
병원체 | 에볼라바이러스(Ebola virus) |
감염경로 | º 바이러스의 자연계 숙주는 과일박쥐로 추정 º 환자의 혈액 또는 체액(타액, 소변, 구토물, 대변 등) 등이 피부상처 또는 점막을 통해 직접 접촉으로 감염되거나 환자의 성 접촉으로 정액을 통해서도 감염 |
잠복기 | º 2-21일(평균 8-10일) |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 º 고열, 전신허약감, 근육통, 두통 등 비전형적인 증상 이후에 오심, 구토, 설사, 발진이 동반되고 따로 체내외 출혈 경향 º 사망률* : 약 25∼90% * 바이러스 유형이나 각국의 보건의료체계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진단 | º 검체(급성기 혈액 또는 체액)에서 바이러스 분리, 항원 또는 유전자 검출 º 특이 IgM 항체 검출 º 회복기/급성기 혈청 항체가 4배 이상 증가 |
치료 | º 대증요법 |
환자관리 | º 환자 관리: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에서 격리입원ㆍ검사ㆍ치료 º 접촉자 관리: 21일간 증상발현 여부 감시, 접촉자 중 유증상자는 즉시 조사, 관리 조치 |
예방 | º 전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예방 백신* 없음 * ’18년-’19.7월 현재,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 유행발생과 관련하여 WHO에서 공급한 임상시험 단계의 백신이 연구프로토콜에 의해 사용 중 º 위험지역 방문 자제 및 불가피한 방문 시 손위생 등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 º 의료환경에서 모든 환자의 혈액, 체액 접촉 시 개인보호구 사용 등 표준주의 준수 º 확인된 에볼라 환자의 혈액, 체액, 검체 취급 시 주의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