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 종식 선언. 기니는 유행종식을 위한 카운트다운 진행 중
- 콩고민주공화국, 기니에서 누적 환자 총 35명(사망 18명) 발생. 4.4일 이후 추가 환자는 없는 상황
○ 5.3일 콩고민주공화국 보건부는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종식을 선언하였으며, 기니에서도 유행종식을 위한 42일간의 카운트다운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콩고민주공화국) 5.3일 4개 유행지역(비에나, 부템보, 카트와, 무시엔에네)에서 발생했던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종식 선언. ‘21.2.7일 12차 에볼라 유행발생 선언 후 환자 12명(사망 6명) 발생
- (기니) 4.4일 이후 추가환자 발생이 없는 상황으로, 종식 선언을 위한 카운트다운 진행 중. 이번 유행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환자 23명(사망 12)명 발생 보고
표. DR콩고 및 기니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발생 현황(WHO, 5.7일 기준)
구분 | 콩고민주공화국(2.7∼5.3일) | 기니(2.14일∼) |
발생현황(명) | 환자 12, 사망 6 | 환자 23, 사망 12 |
* 환자구분(명) | (확진 11, 의심 1) | (확진 16, 의심 7) |
* 치명률(%) | 50% | 52.2% |
* 의료종사자 감염 | 환자 2명(환자의 16.7%) | 환자 5명(환자의 21.7%), 사망 2명 |
발생지역 | 북동부 북키부(North Kivu)주 4개(Katwa, Biena, Butembo, Musienene) 보건지역(’18년∼’20년, 10차 유행지역) | 남동부 은제레코레(Nzérékoré)* 주 Gouéké 지역 (’13.12월, 서아프리카 대유행 시작 지역) |
유행의의 | 10차 유행종료 선언(’20.6월) 이후 북키부주에서 8개월 만에 재발 | 과거 유행 종료 선언(’16년) 이후 5년 만에 유행발생 |
이전발생 | 11차(’20.6.∼’20.11월) - 북서부 에쿠아퇴르주 - 환자 130명, 사망 55명 10차(’18.5.∼’20.6월) - 북동부 북키부·남키부·이투리주 - 환자 3,470명, 사망 2,287명 | 1차(’13.12월〜’16.1월) 기니 은제레코레주에서 첫 환자 발생 이후 유행 확산 - 환자 3,814명(확진 3,358명) - 사망 2,544명) |
○ 비록 콩고민주공화국의 유행에 대해서 종식선언이 있었지만, 기니에서의 사례발견, 정보수집, 접촉자 추적관리, 대응에 대한 지역사회 저항 등의 어려움으로 추가 환자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 질병관리청은 에볼라바이러스병 유행종식까지 DR콩고‧기니에 대한 입국자 검역과 의료기관으로 DUR/ITS를 통한 입국자 정보제공, 국내외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것입니다.
○ 의료기관에서는 모든 환자에 대해 감염관리 표준주의를 준수하고 내원환자의 최근 해외여행력을 확인하여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의료진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국내 에볼라바이러스병 관련 지침은 제1급감염병 바이러스성출혈열 대응지침(제2판)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찾아보기(링크) ‣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 알림·자료 > 법령·지침·서식 > 지침 (검색어: 1급감염병, 바이러스성출혈열, 대응지침) |
○ 에볼라바이러스병이 궁금하다면 여기를 확인해주세요! ☞ 에볼라바이러스병 관련 게시물 바로가기
참고자료: WHO Disease Outbreak News(DONs), WHO DR콩고 국가사무소 보도자료, WHO AFRO 주간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