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6 Issue 13_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동향
File :
작성자 : 관리자 2021-07-08

지난주(6.27~7.3일) 일평균 655.0명 확진(주간 33.2% 증가), 지속 증가 추세

변이바이러스 검출률 지속 증가 추세, 변이바이러스 관련 집단환자 발생 지속


○ 전체 주간 발생 동향(6.27〜7.3일) 


지난주 일평균 국내감염 추정사례는 655.0명이었으며, 2주전(6.20.~6.26., 491.6명)보다 163.4명(33.2%) 증가하였습니다. 


해외유입 사례는 지난주 일평균 42.9명으로, 2주전(42.3명)보다 증가하였습니다.


표 1. 최근 한 달간 1주 간격 위험도 평가 지표(’21.6.27.~7.3.기준)

구 분

62

(6.6.~6.12.)

63

(6.13.~6.19.)

64(6.20.~6.26.)

65

(6.27.~7.3.)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

국내발생

524.3

444.6

491.6

655.0

해외유입

22.6

26.6

42.3

42.9

전 체

546.9

471.1

533.9

697.9

감염경로 조사 중 분율(%)()

25.0(918/3,670)

25.8(802/3,112)

26.5(912/3,441)

30.2(1,386/4,585)

방역망 내 관리 분율(%)1)

24.0

24.3

24.4

28.4

감염재생산지수(Rt)

45.5

44.0

42.1

36.8

신규 집단발생 건수()

47.7

47.0

46.6

40.6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1.02

0.88

0.99

1.20

주간 사망 환자 수()

44(4*)

32(4*)

50(29*)

13**

즉시 가용 중환자실()(21.6.59시 기준)

151

153

142

146

개별 사례 간 연관성이 확인되어 집단발생으로 재분류 된 사례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사진1.jpg

그림 1. ’20.11.29.~’21.7.3. 전국/수도권/비수도권 발생 추이  


권역별로는 수도권 발생이 대폭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제주권은 지속 감소 중, 경북·경남·강원권은 전주 대비 감소, 충청·호남권은 전주 대비 증가 양상을 보였습니다.  

주간 일일 평균(’21.7.4일 0시 기준): (전국) 668.1명, (수도권) 546.1명, (충청권) 43.1명, (호남권) 13.1명, (경북권) 11.1명, (경남권) 41.0명, (강원) 10.7명, (제주) 2.9명


추정감염경로는 산발적인 확진자 접촉사례가 45.8%로 가장 많았으며, 감염원 조사중 28.4%, 집단발생 관련사례가 19.6%를 차지하였습니다. 

 ·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이며, 수도권은 다중이용시설(주점·음식점·노래방·실내체육시설 등) 집단감염 지속 발생, 해외 유입 지속 증가, 밀폐·밀집 환경 및 장시간 체류 등이 주요 전파 요인


○ 변이바이러스 발생 동향(6.27~7.3일) 


국내에서는 확진자의 약 13.3%에서 유전자 분석을 시행하고 있으며, ’20년 이후 주요 변이바이러스는 2,817건이 확인되었으며,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 비율은 50.1% 입니다. 세부적으로는 G군(클레이드) 이 코로나19 유행을 주도하고 있고, 델타형의 분리율은 국내 검출 9.9%, 해외유입사례의 경우 81.5%입니다. 


최근 1주일간 추가로 확인된 변이바이러스 확진자는 325명(120명 해외유입, 205명 국내 감염)이었으며, 알파형 168명, 감마형 4명, 델타형 153명이었습니다.  


변이바이러스 주요 집단사례는 총 20건이 신규로 확인되었고, 알파형 11건, 델타형 9건이었습니다. 


○ 예방접종 시행 경과(’21.7.5 기준)   ※ 7.5 정례브리핑 자료 참고(세부사항 수록)


’21.2월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후 누적 접종자(7.5일)가 약 15,347,214명이며, 이는 전 국민의 29.9%에 해당하며, 접종 완료자는 10.4%입니다.  


60~74세 연령층 대상으로는 위탁의료기관에서 본격적으로 접종을 시작한 이후 인구대비 접종률은 60대 83.2%, 70대 87.7%, 80세 이상 79.2% 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사례(7.4 기준)는 전체 예방접종건의 0.49%였으며, 신고 사례의 95.0%는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 사례였고, 나머지 5.0%는 아나필락시스(433건) 의심, 사망(373건) 등 중대한 이상반응 사례였습니다. 


예방접종 후 피해조사반에서 총 20회 회의를 통해 사망 및 중증사례 676건(사망 309건, 중증 367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324건 심의 결과, 총 108건의 사례, 세부적으로는 사망 1건*, 중증 3건**, 아나필락시스 104건에 대해 백신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였습니다. 

(사망)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1건

** (중증) 뇌정맥동혈전증 1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1건 


○ 전세계적으로 변이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관련사례들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정해진 일정에 따라 예방접종을 받고, 예방접종을 받았더라도 실내에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지속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최신 자료>


   코로나19 예방접종사업 지침(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용/자체 예방접종) 2판(21.6.17)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관련 안내서(의료인용) 1-2판(21.6월)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 알림·자료 > 법령·지침·서식 > 지침 (검색어: 코로나19 예방접종) 



※ 그 외 자세한 주간 동향은 7.5.~7.6일 정례브리핑 자료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정례브리핑 보도참고자료 게시판 바로가기,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