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주(6.27~7.3일) 일평균 655.0명 확진(주간 33.2% 증가), 지속 증가 추세
- 변이바이러스 검출률 지속 증가 추세, 변이바이러스 관련 집단환자 발생 지속
○ 전체 주간 발생 동향(6.27〜7.3일)
- 지난주 일평균 국내감염 추정사례는 655.0명이었으며, 2주전(6.20.~6.26., 491.6명)보다 163.4명(33.2%) 증가하였습니다.
- 해외유입 사례는 지난주 일평균 42.9명으로, 2주전(42.3명)보다 증가하였습니다.
표 1. 최근 한 달간 1주 간격 위험도 평가 지표(’21.6.27.~7.3.기준)
구 분 | 6월 2주 (6.6.~6.12.) | 6월 3주 (6.13.~6.19.) | 6월 4주(6.20.~6.26.) | 6월 5주 (6.27.~7.3.) |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524.3 | 444.6 | 491.6 | 655.0 |
해외유입 | 22.6 | 26.6 | 42.3 | 42.9 | |
전 체 | 546.9 | 471.1 | 533.9 | 697.9 | |
감염경로 조사 중 분율(%)(건) | 25.0(918/3,670) | 25.8(802/3,112) | 26.5(912/3,441) | 30.2(1,386/4,585) | |
방역망 내 관리 분율(%)1) | 24.0 | 24.3 | 24.4 | 28.4 | |
감염재생산지수(Rt) | 45.5 | 44.0 | 42.1 | 36.8 |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47.7 | 47.0 | 46.6 | 40.6 |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명) | 1.02 | 0.88 | 0.99 | 1.20 |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44(▲4*) | 32(▲4*) | 50(▲29*) | 13** | |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21.6.5일 9시 기준) | 151 | 153 | 142 | 146 |
* 개별 사례 간 연관성이 확인되어 집단발생으로 재분류 된 사례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그림 1. ’20.11.29.~’21.7.3. 전국/수도권/비수도권 발생 추이
- 권역별로는 수도권 발생이 대폭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제주권은 지속 감소 중, 경북·경남·강원권은 전주 대비 감소, 충청·호남권은 전주 대비 증가 양상을 보였습니다.
* 주간 일일 평균(’21.7.4일 0시 기준): (전국) 668.1명, (수도권) 546.1명, (충청권) 43.1명, (호남권) 13.1명, (경북권) 11.1명, (경남권) 41.0명, (강원) 10.7명, (제주) 2.9명
- 추정감염경로는 산발적인 확진자 접촉사례가 45.8%로 가장 많았으며, 감염원 조사중 28.4%, 집단발생 관련사례가 19.6%를 차지하였습니다.
·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이며, 수도권은 다중이용시설(주점·음식점·노래방·실내체육시설 등) 집단감염 지속 발생, 해외 유입 지속 증가, 밀폐·밀집 환경 및 장시간 체류 등이 주요 전파 요인
○ 변이바이러스 발생 동향(6.27~7.3일)
- 국내에서는 확진자의 약 13.3%에서 유전자 분석을 시행하고 있으며, ’20년 이후 주요 변이바이러스는 2,817건이 확인되었으며,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 비율은 50.1% 입니다. 세부적으로는 G군(클레이드) 이 코로나19 유행을 주도하고 있고, 델타형의 분리율은 국내 검출 9.9%, 해외유입사례의 경우 81.5%입니다.
- 최근 1주일간 추가로 확인된 변이바이러스 확진자는 325명(120명 해외유입, 205명 국내 감염)이었으며, 알파형 168명, 감마형 4명, 델타형 153명이었습니다.
- 변이바이러스 주요 집단사례는 총 20건이 신규로 확인되었고, 알파형 11건, 델타형 9건이었습니다.
○ 예방접종 시행 경과(’21.7.5 기준) ※ 7.5 정례브리핑 자료 참고(세부사항 수록)
- ’21.2월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후 누적 접종자(7.5일)가 약 15,347,214명이며, 이는 전 국민의 29.9%에 해당하며, 접종 완료자는 10.4%입니다.
- 60~74세 연령층 대상으로는 위탁의료기관에서 본격적으로 접종을 시작한 이후 인구대비 접종률은 60대 83.2%, 70대 87.7%, 80세 이상 79.2% 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사례(7.4 기준)는 전체 예방접종건의 0.49%였으며, 신고 사례의 95.0%는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 사례였고, 나머지 5.0%는 아나필락시스(433건) 의심, 사망(373건) 등 중대한 이상반응 사례였습니다.
- 예방접종 후 피해조사반에서 총 20회 회의를 통해 사망 및 중증사례 676건(사망 309건, 중증 367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324건 심의 결과, 총 108건의 사례, 세부적으로는 사망 1건*, 중증 3건**, 아나필락시스 104건에 대해 백신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였습니다.
* (사망)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1건
** (중증) 뇌정맥동혈전증 1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1건
○ 전세계적으로 변이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관련사례들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정해진 일정에 따라 예방접종을 받고, 예방접종을 받았더라도 실내에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지속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최신 자료> - 코로나19 예방접종사업 지침(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용/자체 예방접종) 2판(21.6.17)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관련 안내서(의료인용) 1-2판(21.6월) ‣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 알림·자료 > 법령·지침·서식 > 지침 (검색어: 코로나19 예방접종) |
※ 그 외 자세한 주간 동향은 7.5.~7.6일 정례브리핑 자료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정례브리핑 보도참고자료 게시판 바로가기,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홈페이지
이전글 ![]() |
No.6 Issue 12_클릭핫뉴스 2. 메르스, 국내 2015년 메르스 환자 대상 5년간 조사 결과 4년차까지 항체 지속되다 감소 확인 |
---|---|
다음글 ![]() |
No.6 Issue 13_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외 발생 동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