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6 Issue 14_클릭핫뉴스 3. 미CDC, mRNA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심근염/심낭염 위험과 백신접종의 이익 비교분석
File :
작성자 : 관리자 2021-07-22

○ 미 FDA는 2020.12월 mRNA 백신(화이자, 모더나)에 대해 긴급사용승인을 허가한 후 2021.5월부터 화이자의 접종대상을 12-15세로 확대하여 백신접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백신접종 후 이상반응 모니터링을 통해 mRNA 백신 접종자에서 심근염과 심막염이 보고된 이후 예방접종자문위원회(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는 미국 내 심근염 및 심낭염 발생 현황 및 특성을 검토하고 mRNA 코로나19 백신접종의 이익과 위험에 대해 평가하였습니다. 


○ 위원회에서 검토한 20.12.29~’21.6.11 심근염·심막염 보고사례* 총 1,226명의 특징은,

* 예방접종 이상반응 수동감시 시스템(Vaccine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VAERS) 보고


연령 중앙값 26세(12-94세), 백신접종 후 증상발생 간격의 중앙값 3일(0-179일)


연령정보가 있는 1,194명 중 30세 이하는 687명(57.5%), 30세 이상은 507명(42.5%)


성별정보가 있는 1,212명 중 남자 923명(76.2%), 여자 289명(23.8%)


백신접종력 정보가 있는 1,094명 중 mRNA 백신 2차 접종자가 76% 이었습니다.


○ ‘21.6.11 까지 보고된, mRNA백신 2차 접종 후 7일이내 발생하여 보고된 심근염 보고율은,


2차 접종 100만건당 남성은 12-29세 40.6건, 30세 이상 2.4건, 여성은 12-29세 4.2건, 30세 이상 1건이었으며, 남성 중 가장 보고율이 높은 그룹은 12-17세(62.8건), 18-24세(50.5건) 순이었습니다. 


○ 또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의 이익(감염, 일반입원, 중환자실 입원, 사망 예방 정도)과 위험을 비교하였을 때 모든 연령에서 백신 접종의 이익이 더 큰 것을 확인하였고 그 정도는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습니다.


mRNA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100만건당 접종 후 120일간의 백신 예방효과와 심근염 발생 위험을 비교한 결과, 남성 12-29세 연령대에서 백신 미접종 대비 mRNA 백신 접종에 대한 이익은 감염 -11,000명, 일반병실 입원 -560명, 중환자실 입원 -138명, 사망 –6명의 예방 효과가 있는 반면, 예상되는 심근염 발생 규모는 39-47명이었습니다.


그림6.jpg

※ MMWR 원자료에서 재가공 

Source: Use of mRNA COVID-19 Vaccine After Reports of Myocarditis Among Vaccine Recipients: Update from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 United States, June 2021


○ 따라서, 미국 예방접종위원회는, ① 모든 연령에서 에방접종의 위험에 비해 mRNA 백신 포함 예방접종의 이익이 분명하게 높고, 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심근염 사례 발생 모니터링을 지속해야 하며, ➂ 접종제공자 및 대중에게 코로나19 예방접종과 심근염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심근염·심낭염 의심사례를 진료한 의료진은 이상반응을 신고해줄 것을 당부하였으며, 심근염·심낭염 관련 의료인용 안내서 및 동영상(질병관리청 누리집, 유투브 등) 등을 배포하고,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심근염·심근염 감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심근염·심낭염 관련 의료인용 안내서, 의료진 안내 동영상 바로가기



자료원 CDC MMWR (July 9, 2021)질병관리청 예방접종 관련 지침



참고 1.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심근염, 심낭염 진단 안내

그림3.jpg



참고 2.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심근염, 심낭염 신고 안내


의료기관 : 심근염 및 심낭염 신고 시 ‘예방접종 후 심근염 및 심낭염 기초보고서’ 작성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심근염 및 심낭염 관련 안내서 참조


그림4.jpg


기초조사서 및 사례조사서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서 서식 다운로드 후 업로드는 아래그림 참조


그림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