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6 Issue 15_아프리카 기니에서 마버그열 최초 확진자 발생
File :
작성자 : 관리자 2021-08-19

전세계적 4년만, 기니에서는 첫 마버그열 환자 1명 발생

접촉자 145명 모니터링 중


○ 서아프리카 기니에서 마버그열 환자가 처음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번 발생은 2017년 우간다에서 마버그열 유행종료 선언 이후 전세계적으로 첫 보고된 사례입니다. 


○ 2021년 8월 4일, 기니 남서부 은제레코레(Nzérékoré)주 구에케(Gouéké)*지역에서 사망자 1명이 마버그열로 확진되어 기니보건부에서 WHO로 보고하였습니다.

기니 은제레코레주는 ’13.12월 서아프리카 에볼라바이러스병 대유행(1차) 시작지역이며, ’21.2월 추가(2차) 유행(’21.2~6.19 종료), 2차 유행시 구에케(Gouéké) 지역에서 발생


- (기본사항) 남/46세, 농부, Tamessadou M’Boké 마을* 거주

* 시에라리온 국경과 9Km 거리, 외진 숲속 지역


(임상경과) ’21.7.30 증상발생, 8.1 구에케 Koundou의 건강센터 방문* 및 탈수, 증상 대증치료(외래), 8.3 증상악화되어 사망(안전한 장례 시행)

발열, 두통, 피로감, 복통, 잇몸출혈, 말라리아 검사 음성


- (진단) 8.3 구에케 실험실에서 사후 구강도말검체의 RT-PCR 검사결과 마버그열 확진(에볼라 음성), 8.4 바이러스출혈열국가표준실험실(Conakry 소재) 및 파스퇴르연구소(Dakar 소재) 추가 검사 결과 8.5 마버그열 확진


게시판4.jpg


○ 기니 보건당국은 WHO, UNICEF 등과 함께 추가전파를 막기 위해 접촉자 조사를 실시하고, 추가전파를 막기 위해 국가 및 지역 긴급관리위원회 소집하여 발생상황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접촉자 조사 결과 8.8 기준 146명의 접촉자 파악, 145명에 대해 모니터링 중


인접국 시에라리온 및 라이베리아는 국경 검역 비상계획 수립 및 조치 개시


○ 의료기관에서는 최근 해외여행력을 확인하여 마버그병 의심시 보건소로 신고, 의료진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알림·자료>>지침>> 제1급감염병 바이러스성출혈열 대응지침(2021.1월)



참고자료: WHO Disease Outbreak News, WHO Africa, 질병관리청(지침)



마버그열 정보

* 출처: 1급감염병 바이러스성출혈열 대응지침(2021.1), 본 발생사례 추가


정의

마버그 바이러스(Marburg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출혈성 질환

질병분류

1급감염병(질병코드: A98.4)

국내발생

없음

국외발생

최초보고

1967년 독일(마버그, 프랑크푸르트), 세르비아(벨그레이드)에서 우간다로부터 수입한 아프리카녹색원숭이 관련 실험실 종사자에서 처음 보고

발생국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우간다, 앙골라, 케냐, 콩고민주공화국 등

발생동향

아프리카 중남부 지역 중심으로 환자 발생 보고

2007년 이후 보고된 유행은 모두 우간다에서 발생

2017.12월 우간다의 유행종료 선언 이후 발생 보고 없음(’20.10월 기준)

2021.8월 기니 환자 발생 보고(8.4), 8.8 기준 총 1명 발생 및 사망 

위험지역

국외 발생이 있을 경우 위험평가 후 지역 또는 국가 단위로 지정

질병관리청 홈페이지(www.cdc.go.kr) 참고

해외유입

네덜란드독일러시아미국세르비아( 아프리카 지역 외 유입)

병원체

필로바이러스과(Filoviridae) 마버그바이러스(Marburgvirus) 속 마버그 바이러스

* 생물안전등급: 고위험병원체 제4위험군

병원소

Pteropodidae과 아프리카 과일박쥐(특히, Rousettus aegyptiacus )

감염경로

동물사람

마버그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 접촉

* 아프리카 과일박쥐(특히, Rousettus aegyptiacus ) 또는 기타 영장류

사람사람

마버그 환자, 사망자의 혈액, 체액 접촉

잠복기

2-21

증상

(1-5) 증상 초기에 40이상의 고열, 오한, 두통, 구토, 설사, 가슴, , 배 등 상체 중심으로 반구진성 발진, 결막염, 복통 등 증상 발현

(5-13) 증상 중기에 탈진, 호흡곤란, 중추신경계 증상 등 발현, 심한 경우 혈변, 반상출혈, 토혈 등 출혈 증상 발생

(13-21일 이상) 증상 말기에 간염, 무력증, 응고장애, 대량출혈, 다발성 장기부전 등 경험 후 보통 8-16일 사이 사망에 이름

치명률

2488% (각국의 보건의료체계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진단

검체(혈액, 체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Real-time RT-PCR)

치료

대증치료(상용화된 특이치료제 없음)

예방

상용화된 예방백신 없음

일반적인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표준주의, 손위생 등 개인위생 철저)

유행지역 여행 시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

알려진 환자의 혈액, 체액, 검체 취급 시 주의 등

관리

발생신고

입국 후 21일 이내 발열 등 증상 발생 시 1339 또는 보건소로 문의

환자관리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등 격리병상에서 입원 치료관리

접촉자관리

확진자 접촉 후 21일 동안 모니터링, 의심 증상 시 의심환자에 준한 조사, 조치

환경관리

환자에게 사용한 기구 및 환자가 머문 환경 소독, 관리